피썹-앝

당신을 위한 예술 한조각

Culture미분류

지구를 지켜라-부고니아

지구 최후의 음모🪐

역대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여섯 번이나 후보로 이름을 올렸던 요르고스 란티모스 감독이 연출을 맡고, <가여운 것들>로 제 96회 아카데미 여우주연상을 수상한 엠마 스톤이 합류해 또 한번 요르고스 란티모스 감독과 호흡을 맞추게 됩니다. 거기에 애플TV+ <플라워 킬링 문>, 넷플릭스 <파워 오브 도그>에 출연하며 아카데미 남우조연상 후보로도 선정된 제시 플레먼스까지 합류해 기대감을 높이는 영화가 있습니다.

배우 문소리의 남편이자 영화감독인 장준환 감독의 2003년 데뷔작으로 부천국제판타스틱영화제, 프리쉘국제판타스틱영화제, 로테르담 국제영화제, 도코 필맥스 등 국내외 영화제를 휩쓸며 작품성을 인정받은 <지구를 지켜라!>의 리메이크 부고니아 입니다.

지구를 지켜라! | TVING

“지구를 구할 것인가, 망상에 빠진 자의 광기인가?”

『부고니아』의 원작인 장준환 감독의 <지구를 지켜라!>는 2003년 개봉 당시 국내 영화계에 신선한 충격을 안겼습니다. 음모론과 외계인, 대기업의 음지, 그리고 주인공 병구(신하균)의 폭주까지… 이 모든 것을 SF, 블랙 코미디, 심리 스릴러, 멜로까지 섞은 전무후무한 장르 혼종이었기 때문입니다. 비록 상업적으로는 참패했지만, 시간이 흐르며 “저주받은 걸작”, “20년을 앞선 명작”으로 재평가되며 수많은 감독과 평론가들의 사랑을 받았습니다.

실제로 이 작품은 베를린 국제영화제, 브뤼셀 판타스틱국제영화제 등 유수 영화제에서 수상하며 한국 장르영화의 숨은 보석으로 인정받았습니다.

장준환 - 나무위키
장준환 감독

🎬『부고니아』 – “왜 하필 이 작품을?”

이 질문에 대한 답은 한마디로 요약됩니다. “요르고스 란티모스의 세계에 가장 어울리는 미친 이야기”였기 때문입니다. ‘더 페이버릿’, ‘더 랍스터’, ‘킬링 디어의 성스러운 순간’을 연출하며 불편함과 블랙 유머, 존재론적 혼란을 예술로 승화시킨 그에게 <지구를 지켜라!>는 더할 나위 없는 퍼즐 조각이었습니다.
그는 “이 이야기는 단순한 음모론이 아니다. 인간 존재에 대한 미친 메타포”라고 평했습니다.

영화감독 요르고스 란티모스의 시선을 담은 전시
요르고스 란티모스 감독의 전작 <가여운것들>

『Bugonia』는 무엇을 뜻하는가?

제목 ‘Bugonia’는 라틴어 어원에서 온 말로, “썩은 고기에서 벌이 생겨난다”는 고대의 잘못된 믿음에서 비롯됐습니다. 하지만 영화에서는 이것이 더욱 강렬한 상징으로 변합니다.

“혼란과 광기의 폐허 속에서, 새로운 진실이 태어날 수 있는가?”

영화 속 주인공 두 명은 제약회사 CEO를 외계인으로 확신하며 납치하고, 끔찍한 심문을 벌입니다. 그들의 행위는 ‘정의’일까, ‘망상’일까. 아니면 진짜 외계인이 우리 사이에 숨어 있는 걸까?

bugonia | Tumblr

최고의 캐스팅이 완성한 부조리의 미학

이번 작품에서 엠마 스톤은 ‘버전 병구’ 역할에 해당하는 주인공 중 하나로 등장하며, 제시 플레먼스는 CEO 역할을 맡아 불안정한 신경과 미묘한 표정을 무기로 삼은 연기를 펼칠 예정입니다. 특히 두 사람 모두 이미 란티모스 감독과 호흡을 맞춘 경험이 있어, 이성과 광기의 줄다리기를 한 치의 틈도 없이 펼칠 것으로 기대됩니다. 현재 『부고니아』는 유니버설 픽처스의 자회사인 포커스 피처스가 배급을 맡아, 2025년 오스카 시즌에 맞춰 북미 개봉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포커스 피처스는 <더 페이버릿>으로 이미 란티모스와 함께 아카데미 주요 부문 후보를 휩쓴 바 있기에, 이번에도 오스카 후보 진출이 유력하다는 전망이 나옵니다.

<부고니아> 스크린샷

한국 콘텐츠의 글로벌 확장 모델

CJ ENM은 이번 작품의 공동제작자로 참여하고 있으며, 이는 K콘텐츠의 IP 확장 모델의 모범 사례로 평가됩니다. <기생충>과 <오징어 게임>이 만들어놓은 “한국 스토리텔링의 세계화”에 <부고니아>가 SF 블랙 코미디 장르로 새로운 영역을 개척하고 있는 것입니다. 『부고니아』는 단순히 ‘재미있는 리메이크 영화’를 넘어 우리 사회의 불신, 광기, 집단적 환상을 다루며, 그 경계에 선 인간을 응시하는 영화입니다. 지금껏 본 적 없는 방식으로, 그리고 아주 불편하고도 아름답게 말이죠.

Yorgos Lanthimos' Bugonia: How 'Parasite' Success Led to Korean Remake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