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썹-앝

당신을 위한 예술 한조각

Art News

“화폭 위에 조선의 산수를 새기다” – 겸재 정선

사대부 화풍을 부수다 – ‘진경산수화’의 탄생

조선 후기 산수화의 거장 겸재 정선(1676–1759). 그의 붓끝에서는 한양의 번화와 백두대간의 장엄함이 동시에 숨 쉬었고, 전통적 화풍을 뒤집어 조선의 ‘참된 풍경’을 화폭에 새겼습니다.

정선은 서울에서 태어나 유복한 집안의 후손으로 성장했습니다. 그러나 그는 당대 주류였던 송·원 대륙 화풍을 맹목적으로 따르지 않고, 자신이 직접 본 조선의 산천을 사실적으로 묘사하기 시작했습니다.

“나는 그림을 그릴 때, 붓끝이 아닌 눈으로 그린다.”

그는 실제 풍경을 그리는 실경(實景)을 고집하며, 한양 주변의 인왕산·북악산·남산을 비롯해, 강원도 금강산, 관동팔경까지 발로 뛰며 스케치했습니다. 이로써 ‘진경산수화(眞景山水畵)’라는 전혀 새로운 장르가 탄생했습니다. 진경산수화는 주변 나라에서 조선산수화(朝鮮山水畵)라고 불렀습니다. 그러니까 중국이나 일본과는 다른 독립적인 화풍이었던 것입니다.

<풍악내산총람>

기록이자 예술, 숨겨진 메시지

『금강전도(金剛全圖)』
금강산 일대를 한 폭에 담아낸 대작으로, 각 봉우리와 계곡마다 고사(故事)를 기록해 지리·역사 교과서 역할을 했습니다. 금강은 불교용어이지만 한자 그대로 해석하면 세상에서 가장 단단한 사물을 뜻합니다다. 또한 전도(全圖)는 전모를 그린 그림, 혹은 완벽한 그림이라는 뜻입니다. 금강과 전도(全圖)를 결합하면 ‘세상에서 가장 완벽한 금강산그림’, 혹은 ‘완벽한 이상 세계를 그린 그림’이 됩니다.

정선은 금강산의 거대하고 웅장한 모습을 마치 하늘을 나는 새가 바라보는 것처럼 한 눈에 들어오도록 그렸습니다. 금강산 전체를 조망한다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합니다. 그러나 정선은 금강산의 일만 이천 봉우리를 하나의 큰 원속에 담아 표현했습니다. 

금강전도
<금강전도>

『인왕제색도(仁王霽色圖)』
비 갠 뒤 햇살이 인왕산 바위를 비추는 장면으로, ‘고난 뒤의 희망’을 상징했습니다. 안개가 피어오르는 인상적 순간을 포착하여 그 느낌을 잘 표현한 작품입니다. 산 아래에는 나무와 숲, 그리고 자욱한 안개를 표현하고 위쪽으로 인왕산의 바위를 가득 배치하였습니다. 산 아래는 위에서 내려다보는 시선으로 그리고, 산 위쪽은 멀리서 위로 쳐다보는 시선으로 그려 바로 앞에서 바라보는 듯한 생생한 현장감 살렸습니다.
정선의의 400여 점의 유작 가운데 가장 크고 그의 화법이 잘 나타난 조선 후기 진경산수화를 대표하는 걸작으로 평가됩니다.

인왕제색도
<인왕제색도>

호암미술관에서 만나는 겸재의 세계

2025년 4월, 호암미술관에서 열리는 ‘겸재 정선: 진경의 시선’ 전시는 그의 진경산수화 걸작을 국내외에서 한자리에서 감상할 수 있는 드문 기회입니다.

  • 전시작품: 『금강전도』, 『인왕제색도』, 『북관유람도』, 『해악전신첩』 등 60여 점
  • 하이라이트: 실물 크기의 대형 병풍으로 재현된 『금강전도』 앞에서, 관람객은 마치 금강산 계곡을 걷는 듯한 입체적 경험을 누릴 수 있습니다.
  • 특별 부대행사: VR 체험존에서 정선이 그린 현장을 360°로 탐험하고, 전문 해설사와 함께하는 ‘화폭 속 산행’ 투어가 마련되어 있습니다.
정선 전시 웹 배너

허상과 진짜

정선은 그림을 통해 묻습니다.
“당신이 보는 풍경은 진짜인가, 아니면 허상인가?”

오늘날 도심 속에서 우리는 종종 자연의 진면목을 잊고 삽니다. 호암미술관 전시장에서 겸재의 진경산수화를 마주할 때, 우리는 다시 ‘눈’으로 세상을 보고, ‘마음’으로 기록하는 ‘진경’을 배우게 됩니다.


전시 정보

  • 기간: 2025년 4월 3일 ~ 6월 15일
  • 장소: 호암미술관 기획전시실
  • 관람료: 성인 15,000원, 청소년 10,000원, 어린이 7,000원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error: Content is protected !!